본문 바로가기
경제및사회

금융 시장을 덮친 미국 월 스트리트에서 시작된 위기는?

by Re_born 2023. 10. 18.

 

세계 금융위기 Financial Crisis

2011년 가을, 월 스트리트에서 시민들이 'Occupy Wall Street(월 스트리트를 점검하라)'라는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진행했습니다. 월 스트리트는 미국의 금융회사와 주식회사가 몰려있는 세계 금융의  중심 지역입니다. 왜 시민들은 정치적 갈등 지역도 아닌 금융 중심지, 월 스트리트를 점검하자며 거리로 나섰을까요? 시위의 뒷배경에는 세계 금융위기라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세계 금융위기 Financial Crisis of 2007~2009'는 2008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친 대규모 경기 침체와 금융회사의 파산 사태를 말합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Subprime Mortgageoan Loan

2000년대 이후 미국은 경기가 나빠졌을 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준금리(국가 전체 이자율의 기준이 되는 금리)를 내렸습니다. 이자율이 낮아져 대출 부담이 줄어들자 사람들은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려 부동산에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너도나도 부동산을 사들이고 이들에 의해 거품이 낀 금액으로 부동산 가격이 터무니없이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금융회사들은 더 많은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신용등급이 낮은 데다 딱히 재산이 없고 소득도 많지 않아 갚을 여력이 현저하게 낮은  저소득층에게까지 집을 담보로 돈을 빌려 주었습니다. 심지어 가진 돈이 전혀 없어도 집값의 100% 수준까지 대출을 해주기도 했지요. 물론, 당시에는 이자도 매우 저렴했기에 빌리는 저소득층 사람들도 목돈 한 푼 없이도 당장 집을 살 수 있고 저금리의 이자만으로도 내 집을 마련할 수 있으니 매우 기뻐하며 돈을 빌렸을 것입니다. 이처럼 저소득층에게 집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상품을 미국에서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Subprime Mortgageoan Loan이라고 합니다.

 

리먼 브라더스 Lehman Brothers의 파산

서브프라임 모기지 덕분에 2005년 한 해 동안 미국의 집값이 평균 52%까지 급격하게 치솟았습니다. 결국 미국 중앙은행은 문제를 바로 잡기 위해 2004년부터 다시 이자율을 올렸고 갑자기 비싸진 이자로 돈을 갚을 능력이 없던 저소득층은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결국 파산했습니다. 그런 그들에게 빌려 준 돈을 받지 못하게 된 은행과 금융회사 역시 비용이 회수되지 않으니 줄줄이 무너지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2008년 대형 금융회사였던 리먼 브라더스 Lehman Brothers가 무너지며 사태는 더욱 걷잡을 수 없이 나빠졌습니다. 뒤이어 다른 투자 은행들도 줄줄이 파산하거나 다른 회사로 넘어갔습니다. 미국 정부는 결국 기업의 파산을 막기 위해 총 7000억 원의 자금을 지원해 주는 구제금융정책을 실시했습니다. 이 혼란스러운 와중에도 2009년 한 금융회사는 직원들에게 200억 원이라는 엄청난 보너스를 주어 사회적 비난을 받기도 했습니다. 금융 회사의 무책임한 행동과 정부의 무분별한 구제금융정책에 화가 난 시민들이 거리로 나서며 월가를 점령하라는 시위를 벌인 것이죠.

 

세계 금융위기 경제 대공황

미국의 경기 침체와 실업률 상승은 전 세계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미국 주식에 투자한 외국 투자자들과 미국의 투자를 받았던 외국 기업들 역시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미국뿐 아니라 유럽과 아시아 등 전 세계의 주가도 하락했습니다. 결국 2007년~2009년까지 세계적인 경기불황이 이어졌는데 이를 '세계 금융위기'라고 부릅니다. 우리 한국도 당시 미국에 투자했던 투자자들의 돈줄이 막히며 주식폭락 및 금리의 변화에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세계 금융은 미국의 금융이 요동치거나 흔들리게 되면 그 파장이 막대합니다. 미국의 사태를 거울삼아 많은 국가들이 국가 점검에 나섰고 돈을 빌려줄 때는 확실한 담보나 회수여력 비율을 따져 은행의 손실이 없도록 소극적인 방식으로 영업하기 시작했으며 이로 인한 저소득층의 피해는 또 다른 숙제로 남아있습니다. 은행과 국가마저 외면하면서 돈을 빌릴 곳이 마땅치 않게 된 저소득층들은 더욱 궁지에 몰리며  더욱더 높은 금리의 제2의 제3의 금융권으로 눈을 돌리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저소득층들은 소득이 어려움에도 고금리의 더 많은 이자를 내야 하는 현실의 문제 또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1일 1단어 1분으로 끝내는 경제공부中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