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자값으로 지불한 그것은?
2010년 5월, 미국의 라스즐로 핸예츠 Laszlo Hanyecz라는 사람이 게시판에 글을 올렸습니다. 그는 1만 비트코인을 지불할 테니 라지 사이즈 피자 2판을 시켜 줄 사람을 구한다는 글을 올립니다. 4일 후 한 네티즌이 미국 달러를 이용해 피자를 주문한 뒤 핸예츠에게 전달해 주고 1만 비트코인을 받았습니다. 탄생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비트코인의 첫 실물 거래가 이루어진 날이었지요. 당시의 거래 조건을 기준으로 비트코인의 가격을 계산해 보면 1 코인은 한국 돈으로 약 2.7원에 불과했습니다. 2021년 10월 기준으로 1비트 코인은 그 가격이 7,000만 원을 넘어갑니다. 불과 10여 년 만에 그 가치가 어마어마하게 오른 셈이죠.
암호화 화폐와 블록체인기술
비트코인은 일종의 디지털 화폐로 정부나 중앙은행같은 당국이 따로 중재나 개입 없이 세계적으로 뻗어있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거래되는 암호화화폐입니다. 2009년 일본의 사토니 나카모토라는 미지의 인물이 그 작동원리를 만들어냈습니다. 현실에서 우리가 쓰는 화폐는 실제로 거래도 하지만 내 손으로 직접 보고 만 질 수 있습니다. 또한 국가의 중앙은행이 발행하여 믿고 사용하지만, 암호 화폐는 중앙정부의 개입이 없기 때문에 단속이 어렵고 눈에 보이지 않는 가상공간에 존재합니다. 또한 중앙은행이나 특정한 기관이 아닌 개인이 전산 암호를 해독하는 과정인 '채굴'을 통해 발행됩니다. 암호 화폐를 거래하면서 남은 기록도 은행 장부가 아닌, 각 개인의 컴퓨터상 거래 장부에 나뉘어서 저장되지요. 이 기록들이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고리처럼 얽히면서 그 누구도 바꾸거나 함부로 손댈 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를 블록체인 기술이라고 합니다.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대표적인 암호 화폐 중 하나로, 비트코인 이외에도 이더리움, 도지코인 등 다양한 암호 화폐가 존재합니다. 비트코인은 10여 년간 가격이 빠르게 뛴 만큼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투자 상품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때때로 하루에 1천만 원 이상 가격이 떨어질 정도로 가격 변동성이 커서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기도 하지요. 2021년만 해도 미국의 전기차 대표기업 테슬라의 CEO 일론머스크 Elon Reeve Musk가 비트코인을 전기차 거래에 사용하겠다고 해서 미국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15% 이상 올라 4만 4,100달러(약 4,900만 원)에 거래됐습니다. 그러나 2달 뒤 머스크가 환경오염을 이유로 비트코인을 결제수단으로 쓰지 않겠다고 이야기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은 7% 이상 급락하기도 했죠. 이처럼 비트코인의 가격은 외부 상황에 따라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는 편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비트코인이 현실에서 거래수단이나 화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현금이나 신용카드에 비해 가치가 불안정하고 결제 처리 속도가 느리기 때문입니다. 반면 기술적 문제가 해결되면 미래에 화폐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이야기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 화폐의 미래가 어떻게 펼쳐질지 많은 이들이 주목하는 시점입니다.
비트코인의 전망
비트코인과 같은 이런 암호화 화폐들은 현재의 금융의 상황이나 규제의 변화 그리고 여러 사회적인 이슈등으로 그 가격 및 시장흐름의 전망은 여러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러 가지를 고려하며 들여다봐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사회적으로 한번 크게 문제가 되었고 젊은 청년들이 희망이 없는 미래를 탓하며 전재산 혹은 그 이상의 빚까지 내며 한방에 올인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된 적이 있었습니다. 비트코인은 가격변동 폭이 매우 크고, 또 이러한 변동이 잦기 때문에 대단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모든 투자는 신중해야 합니다. 사전조사를 철저히 하고 자신만의 뚜렷한 투자전략을 가지고 뛰어들어야 합니다. 또한 가급적 전문가들의 조언을 참고하고 시장 조사를 철저히 분석 후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리스크와 수익은 언제나 반비례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무엇이든 섣부른 예측보다는 빛나는 통찰력과 지혜가 필요할 때입니다.
-1일 1단어 1분으로 끝내는 경제공부中 발췌.
'경제및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도 다른 나라와의 거래를 장부에 적어둘까? (0) | 2023.11.01 |
---|---|
백수처럼 보이지만 실업자가 아닌 이유는? (0) | 2023.10.31 |
국가가 전 국민에게 매달 공짜 월급을 나눠 준다면? (0) | 2023.10.23 |
최저임금제, 근로자에게 도움이 될까? (2) | 2023.10.23 |
돈을 많이 벌수록 세금도 많이 내야 할까? (2)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