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산3

은행이 파산하면, 내 예금을 돌려 받을 수 있을까? 예금자보호제도. 2011년 한 저축은행 앞에 사람들이 모여들었습니다. 이 은행이 부실 운영으로 국가로부터 영업 정지 처분을 받았다는 소식이 들렸기 때문입니다. 예금자들은 은행이 폐업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자 예금액을 되돌려 받기 위해 초조해하며 대기표를 뽑아 들었습니다. 은행이 문을 닫는 상상을 해 본 적이 있으신가요? 은행 예금은 높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재테크 수단은 아니지만, 가장 안정적인 자산 관리 방법입니다. 원금을 손해 볼 일 없이 보관할 수 있는 데다 예금 이자까지 붙기 때문입니다. 시중 은행이나 금융기관(협동조합, 저축은행, 투자회사등)이 망한다는 상상을 하기는 쉽지 않지만, 운영 상황이 나쁘면 이런 곳도 무너질 수 있습니다. 앞서 이야기한 2011년만 해도 부실한 운영 상황으로 인해 저축.. 2023. 10. 20.
금융 시장을 덮친 미국 월 스트리트에서 시작된 위기는? 세계 금융위기 Financial Crisis 2011년 가을, 월 스트리트에서 시민들이 'Occupy Wall Street(월 스트리트를 점검하라)'라는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진행했습니다. 월 스트리트는 미국의 금융회사와 주식회사가 몰려있는 세계 금융의 중심 지역입니다. 왜 시민들은 정치적 갈등 지역도 아닌 금융 중심지, 월 스트리트를 점검하자며 거리로 나섰을까요? 시위의 뒷배경에는 세계 금융위기라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세계 금융위기 Financial Crisis of 2007~2009'는 2008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친 대규모 경기 침체와 금융회사의 파산 사태를 말합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Subprime Mortgageoan Loan 2000년대 이후 미국은 경기가 나빠졌을 때 .. 2023. 10. 18.
경제 대공황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역사상 최악의 경기 침체는? 1929년 10월 24일 목요일, 미국의 증권거래소가 밀집한 월 스트리트에 절망적인 이야기가 들려왔습니다. 아침에 주식시장이 열리자마자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었습니다. 흉흉한 소식에 사람들은 증권거래소에 속속 몰려들었습니다. 가격이 더 떨어지기 전에 자신이 가진 주식을 모두 팔아야겠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는 사람은 그 누구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닷새 뒤 10월 29일 주식 가격은 다시 23% 정도로 떨어졌으며 140억 달러 어치의 주식이 휴지조각으로 변해 버렸습니다. 이와 같이 금융의 중심이었던 월가의 붕괴 이후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경제가 오랫동안 경제 침체의 늪에 빠졌습니다. 공포로 .. 2023. 10. 16.